건자재
레미콘ㆍ아스콘ㆍ골재선별파쇄ㆍ보강토블럭 제조까지 장형이 만들어 갑니다.

건설폐기물 처리   |   사업장폐기물 처리   |   순환건설자원 납품   |   토목·건축·철거 공사업   |   건자재   |   R&D

주요사업
주요사업
레이디믹스-콘크리트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콘크리트 기술개발에 중점을 두어 고강도, 초고내구성, 저발열 콘크리트 등 어떠한 현장도 만족시킬 수 있는 특수콘크리트를 개발, 공급함으로써 국내 사회간접자본의 확충과 건설 산업의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아스팔트-콘크리트
아스팔트 콘크리트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용 , 중간층용 , 기층용)을 생산납품 하고 있으며 도로사업소외에 도로공사에 납품에 최적화 하여 국내 도로에 안전과 이용자의 만족도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골재선별파쇄
골재선별파쇄

13mm ~ 25mm 의 굵은골재 , 부순잔골재를 선별 , 파쇄를 통해 양질의 골재를 생산하고 있으며, 레드믹스트 콘트리트와 아스팔트 콘크리트 생산에 자체 수급하여 양질의 원자재로 제품을 생산, 사용자의 만족도 발전에 이바지 하고 있습니다.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종류
콘크리트의
종류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mm)
슬럼프 또는
슬럼프 풀로
(mm)
호칭 강도 Mpa(=N/mm²)a
1821242730354045505560휨4.0b휨4.5b
보통
콘크리트
20, 2580, 120,
150, 180





-------
210





-------
500*, 600*---


-------
4050, 80,
120, 150






-------
경량
콘크리트
15, 2080, 120,
150, 180, 210







------
포장
콘크리트
20, 25, 4025, 65-----------

고강도
콘크리트
15, 20, 25120, 150,
180, 210
------


----
500*, 600*,
700*
------




--
* 슬럽프 플로 값을 의미한다.
a 종래 단위의 시험기를 사용하여 시험할 경우 국제 단위계(SI)에 따른 수치의 환산은 1 kgf=9.8N으로 환산한다. 즉 1 MPa=10.2kgf/cm²
b 휨4.0, 휨4.5는 포장용 콘크리트에서의 휨 호칭 강도를 의미한다.


레미콘 공정제어 시스템
공정별 모니터링을 통한 사전 품질관리
01 - 생산지시
생산지시
생산지시 시점부터 배출시까지의 모든 공정을 모니터링하여 확인 및 제어
02 - 원자재 이송원자재이송
각 원자재별/부위별 이송 상황 확인을 통하여 불순물 정제 및 공정 안정화 유지
03 - 원자재 계​​​​
원자재계량
각 원자재별 계량상황을 수치 및 눈금으로 확인, 오자율을 최소화하여 정량투입을 유지
04 - 혼​​​​혼합
믹서 내부 및 슬럽프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하여 동일 제품에 대한 차이를 최소화하고 데이터화된 누적 자료를 통하여 최상의 제품 생산환경 유지 및 관리
05 ​​​​- 배출​
배출
믹서트럭 드럼 내부의 잔류수 유무를 점검, 제거 확인 후 배출 지시


레미콘 제조공정도
레미콘_제조공정도
레미콘-제조공정

레미콘 생산제품
단계특징
수중 콘크리트
· 콘크리트의 수중 자유 낙하시 강한 점성과 뛰어난 유동성으로 재료분리현상이없이 타설
· 콘크리트 자중에 의한 충진 효과가 매우 크고 유동성과 내구성이 우수
· 적용분야 : 수중 충진 및 수중 구조물 보강, 해안/ 하천 제방 및 방파제, 교각 기초 타설
저발열 콘크리트
· 분체계 원자재, 특수 혼화제 및 배합 설계를 통한 콘크리트의 수화발열량을 제어
· 부 배합 설계에 의한 수화열 발생량 제어
· 부 배합 빛 혼화재료의 사용에 따른 장기 재령에서의 고강도화가 가능
· 적용분야 : 매스콘크리트 등 근 부재, 댐/교각/교량/지하매트구조 등
저균열 콘크리트
· 콘크리트 내에서의 고른 섬유 분산으로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및 휨 강도가 대폭 개선
· 콘크리트의 충격 및 마모에 대한 저항력이 증대
· 소성 및 건조수축에 대한 균열을 억제하고, 투수성을 감소시킴으로서 장기 내구성 증대
· 적용분야: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물,활주로/고속도로/교량구조물 기타 고인성을 요구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화 콘크리트
· 압축강도 : 재료 및 배합설계에 의한 고강도, 고유통성 확보
· 일반 콘크리트에 대한 내화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시켜 별도의 내화재료 사용 및 피복두께를 증가시키는 작업 불필요
· 고강도 제품의 경우 화재에 의한 폭렬 노출 시 내구성능이 중요
· 적용분야 : 초고층 구조물의 기둥 또는 보 부재, 고열을 사용하는 공장
컬러 콘크리트
· 별도의 외장 처리 없이 콘크리트면을 외장재로서 활용하여 경제적인 사고율 시행
· 고급스럽고 변색이 없으며 커푸집 탈형 시 곰보, 박리 등의 품질 결함 발생을 최소화
· 인테리어 효과 탁월
· 적용분야 : 건물 및 주변의 차도/인도, 주차장(내외부) 바닥 및 램프, 쇼핑몰 내/외부기타 인테리어적 시공이 필요한 장소
투수 콘크리트
· 투수콘크리트는 우천시 도로표면의 빗물을 땅속으로 투과시켜 도로 표면에 생기는 수막을 방지 안전한 길을 만들며,
   땅 속의 미생물이 살아 숨쉬는 땅을 만들어 살아 숨쉬는 도로를 만듬
· 투수콘크리트는 다양한 색상은 아름답고 세련된 문양의 도로포장으로 아름다운 도로 포장재
· 도로표면 물고임으로 인한 통행불편과 미끄럼 현상을 방지
· 지표수 투수로 지하수 고갈을 방지하는 친환경 제품


아스콘의 개요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Hot mix asphalt mixture, KS F 2349)을 줄인 명칭이며, 아스팔트 혼합물, 아스팔트 콘크리트, HMA(Hot mix asphalt)등 여러가지로 호칭되고 있다. 일반적인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이하 '아스콘'이라 한다.)은 아스팔트, 잔골재 또는 아스팔트 포장용 채움재를 가열하거나 상온으로 혼합한 것으로 도로포장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아스팔트 플랜트
아스팔트-플랜트



최우수 시설인 2500FFW의 전자동화된 설비를 갖춘 아스팔트 플랜트 1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운전실과 출하실 간의 전용회선을 설치하여 운전중의 온도 및 골재투입 현황과 계량상태 등을 출하실에서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통합관리시스템을 운영하여 획기적인 품질관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아스콘 포장의 종류
- 일반 아스콘 포장
①기층용 : BB-1, BB-2, BB-3(기층용으로써 각각 50mm, 40mm, 25mm 골재를 사용한다.)
②표층용 및 중간층용

혼합물명칭
용도
특징
조립도 아스팔트 콘크리트(20)
표층, 중간층에 사용
잔골재량이 적고 마무리면은 거칠다
밀립도 아스팔트 콘크리트(20,13)
대형차 교통량이 많은 경우 표층과 마모층의 밑층에 사용
일반적으로 내유동성은 우수하나 내구성,
시공성이 떨어짐으로 표층 사용시 주의해야한다.
세립도 아스팔트 콘크리트(13)
교통량이 적은 도로와 보도등의 표층에 사용함
일반적으로 내유동성 미끄럼 저항성이 우수 특히 최대입경 19mm의 것은 내유동성이 우수함
밀립도갭아스팔트콘크리트
미끄럼 방지포장에 사용
내구성, 시공성은 우수하나 내유동성이 떨어짐, 내구성 내미끄럼 저항성이 우수하다
밀립도아스팔트 콘크리트
(20F, 13F)
대형차 교통량이 많은경우의 내마모용 표층에 사용
내구성 미끄럼 저항성이 우수함
내마모성이 우수함 최대입경19mm의 것은 내유동성도 우수

아스팔트 혼합물의 종류
[ 기층용 혼합물의 입도분포 ]
종류혼합물의 종류
BB - 1
40
BB - 2
30
BB - 3
25
BB - 4
25 R
체크기별

통과
질량
백분율
(%)
50 mm100---
40 mm95 ~ 100100--
30 mm80 ~ 10095 ~ 100100100
25 mm70 ~ 10080 ~ 10090 ~ 100 95 ~ 100
20 mm55 ~ 9055 ~ 9071 ~ 9080 ~ 90
13 mm40 ~ 8046 ~ 8056 ~ 8060 ~ 78
10 mm30 ~ 7040 ~ 7045 ~ 7245 ~ 68
5 mm17 ~ 5528 ~ 5529 ~ 5925 ~ 45
2.5 mm10 ~ 4219 ~ 4219 ~ 4515 ~ 33
0.6 mm5 ~ 287~ 267 ~ 256 ~ 18
0.3 mm3 ~ 224 ~ 195 ~ 174 ~ 14
0.15 mm2 ~ 162 ~ 133 ~ 123 ~ 10
0.08 mm1 ~ 101 ~ 71 ~ 72 ~ 8

[ 중간층용 혼합물의 입도분포 ]
종류혼합물의 종류
BC - 1
20
체크기별

통과
질량
백분율
(%)
25 mm100
20 mm95 ~ 100
13 mm80 ~ 100
10 mm70 ~ 100
5 mm55 ~ 90
2.5 mm40 ~ 80
0.6 mm30 ~ 70
0.3 mm17 ~ 55
0.15 mm10 ~ 42
0.08 mm5 ~ 28
비고
1) BB(Black Base)는 기층용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을 의미하며, R은 소성변형에 저항성이 높은 혼합물을 뜻한다.
2) BC(Binder Course)는 중간층용 혼합물을 의미하며 기층용의 요철을 보정하고 표층에 가해지는 하중을 기층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 표층용 혼합물의 입도분포 ]
종류혼합물의 종류
WC - 1
13
WC - 2
13 F
WC - 3
F 20
WC - 4
20 F
WC - 5
20 R
WC - 6
13 R
체크기별

통과
질량
백분율
(%)

25 mm--100100100-
20 mm10010090 ~ 10095 ~ 10090 ~ 100100
13 mm90 ~ 10095 ~ 10072 ~ 9075 ~ 9069 ~ 8490 ~ 100
10 mm76 ~ 9084 ~ 9272 ~ 9067 ~ 8456 ~ 7473 ~ 90
5 mm44 ~ 7455 ~ 7056 ~ 8045 ~ 6535 ~ 5540 ~ 60
2.5 mm28 ~ 5835 ~ 5033 ~ 6535 ~ 5023 ~ 3825 ~ 40
0.6 mm11 ~ 3218 ~ 3023 ~ 4918 ~ 3010 ~ 2311 ~ 22
0.3 mm5 ~ 2110 ~ 305 ~ 1910 ~ 215 ~ 167 ~ 16
0.15 mm3 ~ 156 ~ 163 ~ 136 ~ 163 ~ 124 ~ 12
0.08 mm2 ~ 104 ~ 82 ~ 84 ~ 82 ~ 103 ~ 9
비고 : WC(Wearing Course)는 표층용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을 뜻하며, F는 광물성 채움재(석분)가 많이 함유된 혼합물, R은 소성변형에 저항성이 높은 혼합물을 뜻한다.

아스팔트 혼합물의 품
[ 기층용 혼합물의 품질 기준값 ]                                                                                                        [ 중간층용 혼합물의 품질 기준값 ]
항목기준값
항목기준값
다짐회수 (회)양면 각 50
다짐회수 (회)양면 각 50
안정도 (N)3500 (5000) 이상
안정도 (N)5000 (7500) 이상
흐름값 (1/100 cm)10 ~ 40
흐름값 (1/100 cm)20 ~ 40
공극률 (%)3 ~ 8
공극률 (%)3 ~ 7
포화도 (%)60 ~ 75
포화도 (%)65 ~ 85

[ 표층용 혼합물의 품질 기준값 ]
항목혼합물의 종류
WC-1, WC-2, WC-3, WC-4WC-5, WC-6
다짐회수 (회)양면 각 50양면 각 75
안정도 (N)5000 (7500) 이상6000 이상
흐름값 (1/100 cm)20 ~ 4015 ~ 40
공극률 (%)3 ~ 63 ~ 5
포화도 (%)60 ~ 8570 ~ 85
간극률(VMA) (%)표 1 을 만족할 것표 1 을 만족할 것
인장강도비 (TSR)0.75 이상0.75 이상
동적안정도(DS) (회/mm)750 이상1000 이상
인장강도비 (TSR) =수분 포화 후 공시체의 인장강도 (N/mm²)
건조 공시체의 인장강도 (N/mm²)
비고 ( )안은 대형차 교통량이 1일 1방향, 1000대 이상인 경우에 유동에 의한 소성변형이 우려되는 포장에 적용하며 공시체의 다짐횟수는 양면 75회로 한다.

[ 표1 . 최소 간극률(VMA) 기준값 ]
골재 최대 치수 (mm)설계 공극률 (%)
3.04.05.06.0
1313.014.015.016.0
2012.013.014.015.0
2511.012.013.014.0

[ 표1 . 최소 간극률(VMA) 기준값 ]
항목혼합물의 종류
기층용중간층 표층용

- 터프니스는 KS F 2382의 간접 인장강도 시험시 하중-변위 곡선의 하부면적을 산출한 값으로서 이때, 파괴시 변위량은 재하하중이 최대치에 이르는 시점을 뜻한다.

- 순환골재를 사용한 혼합물의 아스팔트 추출 후 침입도 시험은 KS F 2381에 따라 아스팔트를 추출 및 회수를 하고 KS M 252 에 따라 침입도를 측정한다.

간접 인장강도(ITS) (N/mm²)0.6 이상0.8 이상
터프니스 (N/mm)6000 이상8000 이상
아스팔트 추출 후 침입도 (1/10mm)55 이상55 이상
비고 : WC(Wearing Course)는 표층용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을 뜻하며, F는 광물성 채움재(석분)가 많이 함유된 혼합물, R은 소성변형에 저항성이 높은 혼합물을 뜻한다.

아스콘 제조공정
아스콘-제조공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