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별 모니터링을 통한 사전 품질관리
콘크리트의 종류 |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mm) | 슬럼프 또는 슬럼프 풀로 (mm) | 호칭 강도 Mpa(=N/mm²)a | ||||||||||||
18 | 21 | 24 | 27 | 30 | 35 | 40 | 45 | 50 | 55 | 60 | 휨4.0b | 휨4.5b | |||
보통 콘크리트 | 20, 25 | 80, 120, 150, 180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0*, 6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 50, 80, 120, 15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경량 콘크리트 | 15, 20 | 80, 120, 150, 180, 210 | ○ | ○ | ○ | ○ | ○ | ○ | ○ | - | - | - | - | - | - |
포장 콘크리트 | 20, 25, 40 | 25, 65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고강도 콘크리트 | 15, 20, 25 | 120, 150, 180, 210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0*, 600*, 7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계 | 특징 |
수중 콘크리트 | · 콘크리트의 수중 자유 낙하시 강한 점성과 뛰어난 유동성으로 재료분리현상이없이 타설 · 콘크리트 자중에 의한 충진 효과가 매우 크고 유동성과 내구성이 우수 · 적용분야 : 수중 충진 및 수중 구조물 보강, 해안/ 하천 제방 및 방파제, 교각 기초 타설 |
저발열 콘크리트 | · 분체계 원자재, 특수 혼화제 및 배합 설계를 통한 콘크리트의 수화발열량을 제어 · 부 배합 설계에 의한 수화열 발생량 제어 · 부 배합 빛 혼화재료의 사용에 따른 장기 재령에서의 고강도화가 가능 · 적용분야 : 매스콘크리트 등 근 부재, 댐/교각/교량/지하매트구조 등 |
저균열 콘크리트 | · 콘크리트 내에서의 고른 섬유 분산으로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및 휨 강도가 대폭 개선 · 콘크리트의 충격 및 마모에 대한 저항력이 증대 · 소성 및 건조수축에 대한 균열을 억제하고, 투수성을 감소시킴으로서 장기 내구성 증대 · 적용분야: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물,활주로/고속도로/교량구조물 기타 고인성을 요구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
내화 콘크리트 | · 압축강도 : 재료 및 배합설계에 의한 고강도, 고유통성 확보 · 일반 콘크리트에 대한 내화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시켜 별도의 내화재료 사용 및 피복두께를 증가시키는 작업 불필요 · 고강도 제품의 경우 화재에 의한 폭렬 노출 시 내구성능이 중요 · 적용분야 : 초고층 구조물의 기둥 또는 보 부재, 고열을 사용하는 공장 |
컬러 콘크리트 | · 별도의 외장 처리 없이 콘크리트면을 외장재로서 활용하여 경제적인 사고율 시행 · 고급스럽고 변색이 없으며 커푸집 탈형 시 곰보, 박리 등의 품질 결함 발생을 최소화 · 인테리어 효과 탁월 · 적용분야 : 건물 및 주변의 차도/인도, 주차장(내외부) 바닥 및 램프, 쇼핑몰 내/외부기타 인테리어적 시공이 필요한 장소 |
투수 콘크리트 | · 투수콘크리트는 우천시 도로표면의 빗물을 땅속으로 투과시켜 도로 표면에 생기는 수막을 방지 안전한 길을 만들며, 땅 속의 미생물이 살아 숨쉬는 땅을 만들어 살아 숨쉬는 도로를 만듬 · 투수콘크리트는 다양한 색상은 아름답고 세련된 문양의 도로포장으로 아름다운 도로 포장재 · 도로표면 물고임으로 인한 통행불편과 미끄럼 현상을 방지 · 지표수 투수로 지하수 고갈을 방지하는 친환경 제품 |
혼합물명칭 | 용도 | 특징 |
조립도 아스팔트 콘크리트(20) | 표층, 중간층에 사용 | 잔골재량이 적고 마무리면은 거칠다 |
밀립도 아스팔트 콘크리트(20,13) | 대형차 교통량이 많은 경우 표층과 마모층의 밑층에 사용 | 일반적으로 내유동성은 우수하나 내구성, 시공성이 떨어짐으로 표층 사용시 주의해야한다. |
세립도 아스팔트 콘크리트(13) | 교통량이 적은 도로와 보도등의 표층에 사용함 | 일반적으로 내유동성 미끄럼 저항성이 우수 특히 최대입경 19mm의 것은 내유동성이 우수함 |
밀립도갭아스팔트콘크리트 | 미끄럼 방지포장에 사용 | 내구성, 시공성은 우수하나 내유동성이 떨어짐, 내구성 내미끄럼 저항성이 우수하다 |
밀립도아스팔트 콘크리트 (20F, 13F) | 대형차 교통량이 많은경우의 내마모용 표층에 사용 | 내구성 미끄럼 저항성이 우수함 내마모성이 우수함 최대입경19mm의 것은 내유동성도 우수 |
종류 | 혼합물의 종류 | ||||
BB - 1 40 | BB - 2 30 | BB - 3 25 | BB - 4 25 R | ||
체크기별 통과 질량 백분율 (%) | 50 mm | 100 | - | - | - |
40 mm | 95 ~ 100 | 100 | - | - | |
30 mm | 80 ~ 100 | 95 ~ 100 | 100 | 100 | |
25 mm | 70 ~ 100 | 80 ~ 100 | 90 ~ 100 | 95 ~ 100 | |
20 mm | 55 ~ 90 | 55 ~ 90 | 71 ~ 90 | 80 ~ 90 | |
13 mm | 40 ~ 80 | 46 ~ 80 | 56 ~ 80 | 60 ~ 78 | |
10 mm | 30 ~ 70 | 40 ~ 70 | 45 ~ 72 | 45 ~ 68 | |
5 mm | 17 ~ 55 | 28 ~ 55 | 29 ~ 59 | 25 ~ 45 | |
2.5 mm | 10 ~ 42 | 19 ~ 42 | 19 ~ 45 | 15 ~ 33 | |
0.6 mm | 5 ~ 28 | 7~ 26 | 7 ~ 25 | 6 ~ 18 | |
0.3 mm | 3 ~ 22 | 4 ~ 19 | 5 ~ 17 | 4 ~ 14 | |
0.15 mm | 2 ~ 16 | 2 ~ 13 | 3 ~ 12 | 3 ~ 10 | |
0.08 mm | 1 ~ 10 | 1 ~ 7 | 1 ~ 7 | 2 ~ 8 |
종류 | 혼합물의 종류 | |
BC - 1 20 | ||
체크기별 통과 질량 백분율 (%) | 25 mm | 100 |
20 mm | 95 ~ 100 | |
13 mm | 80 ~ 100 | |
10 mm | 70 ~ 100 | |
5 mm | 55 ~ 90 | |
2.5 mm | 40 ~ 80 | |
0.6 mm | 30 ~ 70 | |
0.3 mm | 17 ~ 55 | |
0.15 mm | 10 ~ 42 | |
0.08 mm | 5 ~ 28 |
종류 | 혼합물의 종류 | ||||||
WC - 1 13 | WC - 2 13 F | WC - 3 F 20 | WC - 4 20 F | WC - 5 20 R | WC - 6 13 R | ||
체크기별 통과 질량 백분율 (%) | 25 mm | - | - | 100 | 100 | 100 | - |
20 mm | 100 | 100 | 90 ~ 100 | 95 ~ 100 | 90 ~ 100 | 100 | |
13 mm | 90 ~ 100 | 95 ~ 100 | 72 ~ 90 | 75 ~ 90 | 69 ~ 84 | 90 ~ 100 | |
10 mm | 76 ~ 90 | 84 ~ 92 | 72 ~ 90 | 67 ~ 84 | 56 ~ 74 | 73 ~ 90 | |
5 mm | 44 ~ 74 | 55 ~ 70 | 56 ~ 80 | 45 ~ 65 | 35 ~ 55 | 40 ~ 60 | |
2.5 mm | 28 ~ 58 | 35 ~ 50 | 33 ~ 65 | 35 ~ 50 | 23 ~ 38 | 25 ~ 40 | |
0.6 mm | 11 ~ 32 | 18 ~ 30 | 23 ~ 49 | 18 ~ 30 | 10 ~ 23 | 11 ~ 22 | |
0.3 mm | 5 ~ 21 | 10 ~ 30 | 5 ~ 19 | 10 ~ 21 | 5 ~ 16 | 7 ~ 16 | |
0.15 mm | 3 ~ 15 | 6 ~ 16 | 3 ~ 13 | 6 ~ 16 | 3 ~ 12 | 4 ~ 12 | |
0.08 mm | 2 ~ 10 | 4 ~ 8 | 2 ~ 8 | 4 ~ 8 | 2 ~ 10 | 3 ~ 9 |
항목 | 기준값 | 항목 | 기준값 | |
다짐회수 (회) | 양면 각 50 | 다짐회수 (회) | 양면 각 50 | |
안정도 (N) | 3500 (5000) 이상 | 안정도 (N) | 5000 (7500) 이상 | |
흐름값 (1/100 cm) | 10 ~ 40 | 흐름값 (1/100 cm) | 20 ~ 40 | |
공극률 (%) | 3 ~ 8 | 공극률 (%) | 3 ~ 7 | |
포화도 (%) | 60 ~ 75 | 포화도 (%) | 65 ~ 85 |
항목 | 혼합물의 종류 | |
WC-1, WC-2, WC-3, WC-4 | WC-5, WC-6 | |
다짐회수 (회) | 양면 각 50 | 양면 각 75 |
안정도 (N) | 5000 (7500) 이상 | 6000 이상 |
흐름값 (1/100 cm) | 20 ~ 40 | 15 ~ 40 |
공극률 (%) | 3 ~ 6 | 3 ~ 5 |
포화도 (%) | 60 ~ 85 | 70 ~ 85 |
간극률(VMA) (%) | 표 1 을 만족할 것 | 표 1 을 만족할 것 |
인장강도비 (TSR) | 0.75 이상 | 0.75 이상 |
동적안정도(DS) (회/mm) | 750 이상 | 1000 이상 |
인장강도비 (TSR) = | 수분 포화 후 공시체의 인장강도 (N/mm²) | |
건조 공시체의 인장강도 (N/mm²) |
골재 최대 치수 (mm) | 설계 공극률 (%) | |||
3.0 | 4.0 | 5.0 | 6.0 | |
13 | 13.0 | 14.0 | 15.0 | 16.0 |
20 | 12.0 | 13.0 | 14.0 | 15.0 |
25 | 11.0 | 12.0 | 13.0 | 14.0 |
항목 | 혼합물의 종류 | ||
기층용 | 중간층 표층용 | - 터프니스는 KS F 2382의 간접 인장강도 시험시 하중-변위 곡선의 하부면적을 산출한 값으로서 이때, 파괴시 변위량은 재하하중이 최대치에 이르는 시점을 뜻한다. - 순환골재를 사용한 혼합물의 아스팔트 추출 후 침입도 시험은 KS F 2381에 따라 아스팔트를 추출 및 회수를 하고 KS M 252 에 따라 침입도를 측정한다. | |
간접 인장강도(ITS) (N/mm²) | 0.6 이상 | 0.8 이상 | |
터프니스 (N/mm) | 6000 이상 | 8000 이상 | |
아스팔트 추출 후 침입도 (1/10mm) | 55 이상 | 55 이상 |